중학교 영어 문법

중학생들은 문법 개념을 이해했다고 해서 그 문법을 안다고 말할 수 없습니다.

문법 개념을 이해하는 것은 단지 이론적인 수준에 머무르는 것이지, 실제로 문장을 구성하고 활용하는 능력을 갖추었다고 할 수는 없습니다.

​또한, 특정 문법 문제를 틀렸다고 해서 그 문법 개념을 이해하지 못하고 있다고 말할 수 없습니다.

​문법은 다양한 규칙과 예외를 포함하고 있으며, 그 모든 것을 다 기억할 수 없기 때문입니다.

​개념 이해와 문제 풀이에는 약간의 차이가 있습니다.

​예를 들어, 특정 문법 지식을 묻는 문제는 해당 개념을 기억하고 문제에 적용하는 능력이 중요합니다.

​그러나 "다음 문장들 중 틀린 문장을 모두 고르시오."와 같은 유형의 문제는 모든 문법적인 지식을 종합적으로 활용해야 해결할 수 있습니다.

​중학생들이 이러한 유형의 문제에 익숙해지기 위해서는 중등 교과 과정의 모든 문법적인 지식을 이해의 수준이 아닌 활용의 수준까지 끌어올려야 합니다.

​활용의 수준에 오르기 위해서는 개념 이해와 함께 문장에 익숙해지는 것이 필요합니다.

​우리는 일상에서 영어를 사용하는 환경이 부족하기 때문에 자연스럽게 문장에 익숙해지기 어렵습니다.

​그러므로 반복적으로 문장을 소리내어 읽고 암기하며 입을 익히는 것이 좋습니다.

​외국인이 한국어를 말할 때, 문장이 어색하다고 느낀적이 있을 겁니다.

​문법적으로는 설명할 수 없지만, 어색함을 느끼는 것은 우리가 한국어 문장에 아주 익숙해져서 문법을 몰라도, 어색함을 알아차릴 수 있기 때문입니다. 

​익숙한 입은 머리의 이해를 더욱 완벽하게 만들어 줍니다.

​문법적으로 명사를 꾸며주는 것을 형용사라고 합니다.

​alive 형용사로서 '살아 있는'의 의미로 쓰입니다.

​I am an alive life.

이 문장에서 비록 alive가 형용사이기는 하지만 명사를 꾸며주는 형용사는 아닙니다.

​즉 예외적인 형용사이죠. 그래서 문법적으로 틀린 문장입니다.

​I am alive. 라고 써야 합니다.

​이걸 틀렸다고 해서, '형용사는 명사를 수식한다'라고 하는 문법적 개념을 모른다고 말할 수 없습니다.

​문법 개념 이해는 문법 실력에 있어서 매우 중요합니다.

​그리고 또 한 가지 입이 문장에 익숙해지면 더욱 완벽한 문법 실력을 갖게 됩니다.

​문법 공부 머리로 이해해서 문제만 풀려고 하지 마십시오.

​입으로 소리내서 문장을 반복적으로 읽고 가능하면 그 문장을 암기하십시오.